개요
우주항공청(우주청)의 2025년 이야기를 돌아봅니다. 이번 포스팅은 먼저 우주발사체 분야를 들여다 봅니다. 이 포스팅에서는 아래의 문서를 통해 살펴보려고 합니다. 주로 우주청을 통해 공개된 보도자료를 기반으로 합니다.
- 우주항공청 2025년 업무계획 (2025.1.20.)
- 차세대발사체개발사업 사업내용 변경소개(안) (2025.6.20.)
- KASA 우주추진전략 기술로드맵(안) 의견수렴회 (2025.10.2.)
1. 우주청 2025년 업무계획 내용 요약
우주청은 2025년 1월 20일에 2025년 업무계획을 공개했습니다. 이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 실제 계획은 1월 6일에 작성된 것으로 보입니다. 이 계획은 '우주항공 5대 강국 도약'이라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담고 있습니다.
250106_2025년 우주항공청 주요업무 추진계획(배포용).pdf
정책 방향 및 목표
- 비전: 우주항공 5대 강국 도약
- 목표
- 민간·지자체 중심의 우주항공 산업 생태계 구축
- 우주항공 기술경쟁력의 획기적 도약
- 우주항공경제를 이끌 혁신인재 육성
- 3대 추진 방향:
- 민간 중심의 우주항공경제 가속화
- 글로벌을 선도할 미래기술 선제 확보
- 국민이 함께 누리고 지지하는 우주항공 문화

7대 핵심 추진과제
이를 위해서 7대 핵심 추진과제를 정했습니다.
- [정책] 우주항공 혁신 기반 마련
- (실무형 인재양성) 산·학·연 연계를 통한 실전형 인재 양성
- (우주항공 문화 확산) ‘제1회 우주항공의 날’ 기념하여 다양한 국민체험형 프로그램 추진
- (우주안보 강화) 독자적‧선제적 우주감시 역량 확보 및 우주위험 대응 체계 구축
- (연구기관 혁신) 직할연의 R&D임무 기능 강화 및 연구자 중심의 R&D 생태계 조성
- (정책 거버넌스 강화) 우주항공 정책 통합체계 수립 및 정책 컨트롤타워 기능 강화
- [산업] 우주항공경제 생태계 조성
- (투자 활성화 및 제도 개선)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을 통해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 지원
- (인프라 및 국산화 지원) 산업 활용가능 인프라 확보와 기술 내제화로 산업 경쟁력 확보 지원
- (해외진출 지원) 우주항공산업으로 협력분야 다각화 및 산업계 교류 활성화
- [수송] 민간주도 우주수송으로의 대전환 추진
- (누리호 4차 발사) 민간 주도 누리호 발사 추진을 통한 우리 주력 발사체 신뢰성 제고
- (재사용발사체 기술확보) 발사 비용 절감, 발사 빈도 확대를 위한 재사용발사체 확보 본격 추진
- (우주수송 제도 정비) 국내 우주수송 기업의 원활한 사업활동 지원을 위한 제도 개선
- (우주수송 임무 확장) 우주임무 수행 다각화를 위한 혁신적인 기술 개발 과제 발굴 및 기획
- [위성] 첨단위성 개발·발사로 우주산업 기회 확대
- (첨단 위성개발·발사) 재난·재해 대비 세계 수준의 첨단위성 개발 및 핵심기술 개발
- (민간주도 위성개발 지원) 진입장벽 완화‧우주인증 기회 확대로 산업체 역량 강화
- (초정밀 항법위성개발) 국가 인프라를 위한 안정정인 초정밀 PNT* 정보 제공 항법위성 개발
- [탐사] 우리가 주도하는 글로벌 우주과학탐사 본격화
- (국제 우주과학탐사 리더십 확보) 국제협력 프로젝트 참여국에서 주도국으로 전환
- (달 탐사 본격 추진) 달 표면 임무 수행 탑재체 개발, 핵심기술 국산화 본격 추진
- (체계적 탐사 기반 마련) 화성탐사를 체계적으로 기획하고, 자체 임무보증체계 마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