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 7월 12일, 피트 헤그세스(Pete Hegseth) 미 국방장관은 미군의 드론 생산을 가속화하고 관련 절차를 간소화하는 새로운 지침을 발표했습니다. 헤그세스 장관은 '관료주의적 형식주의를 타파하고 생산 속도를 높이고 있다'고 말하며, 미군의 모든 구성원이 드론 운용 훈련을 받기를 원한다고 덧붙였습니다. 이 중에서 소형 UAS(sUAS)와 관련하여 주목되는 부분을 정리해 봅니다.
사실 이러한 움직임은 국내에서도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. 2024년 7월 9일 시행된 '군수품 관리 훈령'에는 별표 2에 '군수품 종별 세부 분류표'가 있는데요. ▲2종 일반물자류 중 기타 물자에 드론(최대이륙중량 2㎏미만이고, 취득단가 300만원 미만)이 포함되어 있고, ▲5종 탄약류 중 항공탄약에 기타탄(기관포탄, 항공로켓탄, 심리전탄, 전자전탄, 신호탄, 교보재용 탄약, 자폭용 드론 등)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. 물론 7종 장비류에도 있으나, 그건 장비이므로 UAS를 장비로 보는 전통적인 개념입니다.
우리나라 군도 이런 sUAS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있었고, 이를 대비하고 있었다는 의미라고 보여집니다. 그러나 이번 미국의 발표에 제가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, 이번 발표는 종합적인 정책의 성격이 강했다는 것입니다.
단순히 소모성으로 분류한 것을 넘어서, 그것을 운용하는 자의 권한, 그것을 획득하는 방안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발표라는 점에서 매우 부럽다는 생각이 듭니다.
우리나라 각 부처가 추진하는 UAS 관련 정책은 여전히 파편적입니다. 물론 UAS 정책 만의 문제는 아니지요. 모두가 각 부처의 협력을 이야기하고, 업무 추진 체계에도 잘 표현이 되지만, 실질적인 협력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별로 못 본 것 같습니다.
그 이유는 모르지는 않습니다만, 해결 방안을 도무지 알지 못하겠습니다. 개인의 열심으로는 절대 바꿀 수 없는 영역이라는 것만큼은 확실하고요.
국내 중앙일보에서 '드론 '백만 양병' 속도내는 미군…탄약처럼 소모품 지정했다 [밀리터리 브리핑]'이라는 제목으로 기사를 냈습니다. 제가 알기로 '드론 백만 양병'은 파블로항공의 유동일 기술부사장님께서 가장 먼저 주창하신 것으로 알고 있는데, 이 개념을 잘 이끌어 가 주시면 좋겠습니다. ㅎㅎㅎ
Hegseth orders military to 'unleash' use of small drones in new memo - Breaking Defense
Pentagon Just Made A Massive, Long Overdue Shift To Arm Its Troops With Thousands Of Drones